프로그램 소스 코드와 같이 구문 강조(code highlight) 기능이 필요한 코드를 블로그에 끼워넣기(embeded)하기 위해서는 페이스트빈(pastebin)이라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페이스트빈 서비스로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SyntaxHighlighter가 있으며, 이 밖에도 'code highlight'나 'syntax highlight'라는 검색어로 구글링해보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된 온라인 서비스와 SyntaxHighlight와 같이 블로그 소스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소스로 제공되는 페이스트빈 서비스를 찾을 수 있다.
여기서는 깃허브에서 제공하는 페이스빈 서비스인 Gist를 이용하여 블로그에 소스 코드를 끼워 넣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우선 깃허브를 가입하고 계정을 생성한다. 그리고 Gist로 접속하여 파일을 생성하면 끝!
참고. https://help.github.com/en/articles/creating-gists
먼저 확장자를 포함한 파일 이름를 입력한다.
본문에 소스를 입력한 뒤에 gist를 생성한다.
이때 secret과 public을 구분하여 만들 수 있는데 public은 외부의 검색을 허용한다는 정도만 이해하면 된다. Github의 private와 public 저장소의 차이와 비슷.
우측 상단에 끼워넣기(embed)를 위한 복사 기능이 있으므로 복사한 후 블로그 소스에 <script> 블럭을 끼워 넣으면 완료.
이 기능은 HTML 코드 편집을 지원하는 블로그에만 가능하며 HTML 코드 편집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Color Scripter와 같은 온라인 페이스트빈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대표적인 페이스트빈 서비스로는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SyntaxHighlighter가 있으며, 이 밖에도 'code highlight'나 'syntax highlight'라는 검색어로 구글링해보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된 온라인 서비스와 SyntaxHighlight와 같이 블로그 소스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소스로 제공되는 페이스트빈 서비스를 찾을 수 있다.
여기서는 깃허브에서 제공하는 페이스빈 서비스인 Gist를 이용하여 블로그에 소스 코드를 끼워 넣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우선 깃허브를 가입하고 계정을 생성한다. 그리고 Gist로 접속하여 파일을 생성하면 끝!
참고. https://help.github.com/en/articles/creating-gists
먼저 확장자를 포함한 파일 이름를 입력한다.
본문에 소스를 입력한 뒤에 gist를 생성한다.
이때 secret과 public을 구분하여 만들 수 있는데 public은 외부의 검색을 허용한다는 정도만 이해하면 된다. Github의 private와 public 저장소의 차이와 비슷.
우측 상단에 끼워넣기(embed)를 위한 복사 기능이 있으므로 복사한 후 블로그 소스에 <script> 블럭을 끼워 넣으면 완료.
이 기능은 HTML 코드 편집을 지원하는 블로그에만 가능하며 HTML 코드 편집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Color Scripter와 같은 온라인 페이스트빈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