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Nginx + PHP + MySQL 개발 및 배포 환경 구축 (3)

Windows 10(64bit) 환경에 nginx 설치하기


대중적인 웹개발 환경의 대표적인 조합이라면 APM(Apache + PHP + MySQL) 조합을 빼놓을 수 없다. 고유명사화 되다시피 한 조합이지만 최근 몇 년사이 웹서버로 Apache HTTPd 대신 nginx를 조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Apache 웹서버에 비해 설정이 간단하고 가벼워서 같은 자원으로 더욱 강력한 성능을 낼 수 있다. 구글링해보면 Apache 웹서버와 nginx 웹서버의 성능 비교 이슈에 대한 기사는 최근에도 지속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1. nginx 설치

nginx는 2가지 배포버전으로 개발이 진행된다. 짝수 버전 (1.14)은 안정버전으로 보수적으로 관리되며 중요한 문제 또는 보안 취약점을 수정해야하는 경우에만 업데이트된다. 홀수 버전 (1.15)은 메인 라인 브랜치이다. 좀 더 공격적인 개발이 진행되며 약 4-6 주에 한 번씩 만들어져서 정기적으로 새로운 기능과 향상된 기능을 도입한다.


nginx 환경에 익숙해지는 것이 우선이므로 안정버전인 1.14버전을 내려받아 설치하겠다.

내려받기 nginx/Windows-1.14.0

MySQL 서버와 마찬가지로 D:\Utils 폴더에 압축을 푼다.

D:\Utils\nginx-1.14.0 >

2. nginx 설정 구성하기

2.1. 정적 건텐츠 서비스
로컬 디렉터리에서 HTML 페이지와 이미지 파일들과 같은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이다. 설정 파일(/conf/nginx.conf)의 server 블럭 안에 location 블럭을 배치하여 정적 컨텐츠를 읽어올 디렉터리를 설정한다.

worker_process 1; # CPU 코어 수에 맞춰 싱글 쓰레드로 동작. 멀티코어 CPU의 경우 1이상 설정 가능. 쓰레드당 최대 1024개의 동시 연결 처리 가능.

...

http {

  server {
    listen 8001; # 웹서비스 포트
    server_name localhost; # %WINDIR%\system32\drivers\etc\hosts

    ...

    location / {
      root D:/devphp/hello; # HTML과 같은 정정 컨텐츠 저장 디렉터리
      index index.html index.htm; # 기본 웹문서 파일
    }

    location /images {
      root D:/assets/images; # 이미지 파일을 별도 디렉터리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

    ...

  }

}

...


3. nginx 시작 및 관리하기

참고. nginx for Windows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할 때 80번 포트와 같이 well-known port를 이용할 경우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8001번 포트처럼 커스텀 포트 이용할 경우는 일반 권한으로 nginx를 실행해도 무방하다. nginx.exe를 실행 후 다른 명령프롬프트 창을 열어 명령행 옵션 -s와 함께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D:\Utils\nginx-1.14.0 > nginx

D:\Utils\nginx-1.14.0 > nginx -s quit # 정상 종료 실행 (권장)

D:\Utils\nginx-1.14.0 > nginx -s stop # 긴급 종료 실행

D:\Utils\nginx-1.14.0 > nginx -s reload # 실행 중 설정 파일 변경시 종료없이 변경된 설정을 적용

D:\Utils\nginx-1.14.0 > nginx -s reopen # 로그 파일 다시 열기

D:\Utils\nginx-1.14.0 > tasklist /fi "imagename eq nignx.exe" # 실행 중인 nginx 프로세스를 표시

웹 브라우저로 웹페이지를 확인 http://localhost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두이노 미세먼지 센서 PM2008

온습도계를 달아봤으니 이참에 미세먼지까지 한꺼번에 표시되도록 기능을 추가해보기로 했다. 마침 아두이노 전용 쉴드까지 제공하는 미세먼지 센서가 눈에 띄길래 일단 구매를 해봤다. 배송받은 센서는 거의 완제품에 가깝게 제작되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아두이노 전용 쉴드의 마감이 좀 지분하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후처리에 신경을 더 써주는 센스가 부족한 듯. PC2008 미세먼지 센서 아두이노 우노 전용 PM2008 쉴드  부착한 상태는 핀 위치도 잘 맞고 비교적 깔끔한 느낌이다. 쉴드 덕분에 지저분한 배선이 줄어들어 다른 센서들을 붙이기에도 좋을 것 같다. 쉴드와 일체형으로 제작하지 않은 건 라즈베리 파이와 같은 다른 마이크로칩 보드용의 쉴드 제작을 염두에 둔 듯하다. Arduino UNO에 장착한 모습 센서의 작동 테스트를 위해 PM2008 I2C 라이브러리를 추가하여 샘플코드를 실행시켜봤다. 성공적을 테스트를 완료. 이제 공부가 남았을 뿐. Arduino library PM2008 I2C 설치

Eclipse + JBoss + jBPM 개발환경 설정

상용 개발환경인 JBoss Development Studio 9.0.0 GA 개발환경과 동일한 오픈소스 환경 구성을 목표 Windows 10 64bit JDK 1.8 64bit Eclipse Mars.1 64bit Wildfly 10 (JBoss Application Server) - JDK 1.8 지원 jBPM 6 1. JDK를 내려받아 설치한다. JDK 1.8 - Windows x64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dk8-downloads-2133151.html 2. Eclipse을 내려받아 설치한다. 1) Eclipse IDE for Java EE Developers Windows 64bit 배포판을 내려받는다. http://www.eclipse.org/downloads/ 2) 적당한 디렉터리에 압축을 푼다. Ex) d:\eclipse 3) 압축을 풀어낸 디렉터리에서 eclipse.ini를 찾아 jdk bin 디렉터리의 javaw.exe를 설정한다. [eclipse.ini] -vm C:/Program Files/Java/jdk1.8.0_65/bin/javaw.exe 3. Wildfly를 내려받아 설치한다. 1) Wildfly 10.0.0 최신버전을 내려받는다. http://wildfly.org/downloads/ 2) 적당한 디렉터리에 압축을 푼다. Ex) d:\wildfly 4. Eclipse에 JBoss Tools 4.3.0.Final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Help > Install New Software... http://download.jboss.org/jbosstools/mars/stable/updates/  주소를 추가한 후 다음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JBoss Applicastion Server Adaper JBoss Maven Int...

모니터링 :: Grafana와 Prometheus 설치하기

Raspberry Pi 3 B+에서 Grafana와 Prometheus 설치하기 Grafana는 오픈소스 기반의 강력한 대시보드 플랫폼이다. 서버나 임베디드 장비의 운영상태 등을 Prometheus, ElasticSearch와 같은 data source를 플러그인 방식으로 연결해서 다양한 그래픽 요소로 나타낸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모니터링 솔루션인 Prometheus를 이용하여 요즘 메이커들 사이에 사물인터넷의 주요 디바이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라즈베리 파이의 운영상태를 모니터링 해보기로 하겠다. [그림.1] 라즈베리 파이 3 B+ [그림.2] 운영 중인 라즈베리 파이 3 B+ 라즈베리 파이는 영국의 라즈베리 파이 재단에서 학교와 개발도상국에서의 기초 컴퓨터 과학 교육 증진을 목표로 제작한 초소형 PC이다. 메인보드에 내장된 GPIO핀을 이용하여 다양한 센서모듈을 조합하여 메이커들에게는 사물인터넷의 핵심 기기로 각광받고 있다. 서버나 사물인터넷 허브와 같이 중단없이 장시간 운영되는 장비의 경우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실시간 서비스 모니터링이 필수적인데, Prometheus를 이용하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로그를 저장하고 이를 Grafana와 연동하여 세련된 그래픽 환경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게다가 오픈소스로 제공되기 때문에 설치와 운영 등 기술 비용(!)을 제외하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은 무료이다. (제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무료라고 모든게 공짜라는 생각은 버리자!) [그림.3] Prometheus Architecture Prometheus는 그림과 같이 Prometheus 서버가 외부의 export node들로부터 metric을 pulling 방식으로 수집하고, 이를 Grafaana 등을 이용해 시각화한다. 구조는 좀 복잡해 보이지만 이 글에서 구현해 볼 모니터링 툴을 간단히 설명하면, 1. node exporter - 모니터링할 기기의 메트릭(정보)을 제공 2. prometheus - 노드들로부...